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5)
Spring 3일차. 어제했던 보드에 수정/삭제 기능은 1일차에 했던것과 똑같기때문에 생략 1일차 글을참고.단, 삭제는 게시글을 DB에서 삭제하는게아닌 업데이트해 is_del을 'N'에서 'Y'로 바꾸도록 구현. update board set is_del = 'Y' where bno = #{bno} 페이지네이션 pagenation한 페이지에 목록을 다 나타내기 힘들 때 사용- 한페이지에 10개의 게시물을 표현- 전체 게시글의 수에 계산되어 페이지네이션 값들이 결정이 됨. DB상에서 => limit 시작번지, 개수1페이지 => limit 0,10 => 0번지부터 10개 => 0번지부터 9번지까지2페이지 => limt 10,10 => 10번지부터 10개 => 10번지부터 19번지까지3페이지 => limit 20,10 => ..
Spring 2일차. xml 없이 자바클래스로 설정을 하는 방법해보기 플러그인 추가 설정 필요 web.xml 없이도 class를 통해서 설정정보를 읽을 수 있게해야함. org.apache.maven.plugins maven-war-plugin 3.4.0 false 추가 config 패키지를 만들어서 WebConfig 클래스 생성 extends AbstractAnnotationConfigDispatcherServletInitializer 상속  @Override protected Class[] getRootConfigClasses() { // TODO ..
Spring 1일차. Spring Framework ●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엔터프라이즈급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모든 기능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경량화된 솔루션 Spirng Framework는 경량 컨테이너로 자바 객체를 담고 직접 관리 Spirng이 IOC(Inversion Of Control) : 제어의 역전기반의 Framework임을 의미합니다. Spring 의 주요 특징• POJO 기반의 구성• 의존성 주입(DI)를 통한 객체 간의 관계구성• AOP(Aspect-Oriented-Programming)지원• 편리한 MVC 구조• WAS의 종속적이지 않은 개발 환경 POJO(Plain Old Java Object)POJO란, 객체 지향적인 원리에 충실하면서 환경과 기술에 종속되지 ..
spring 설정관련 spring = spring tool site => sts 3   / sts4 = > spring boot  sts3 다운로드. 워크스페이스를 만들어주고 실행하면 이클립스와 똑같은 환경에서 열림.레거시 프로젝트 생성 > plugins > org.springsource.ide.eclipse.commons.content.core > https-content 붙혀넣기 레거시 프로젝트 다시 생성해서 폴더생성 > .sts > content > 폴더안에 압축푼 3개 붙혀넣기 레거시 프로젝트 다시생성 인코딩 밑에3개encoding 설정 java 설정 server 설정 web 설정 consol 설정 프로젝트 자바버젼 설정 lombok 설정다운 받은 lombok을 sts.exe 있는 폴더에 넣어주고 실행, 경로 설정하고..
JSP/JSTL 5일차. board에 이어서 로그인 기능 구현 로그인 테이블 생성create table member( id varchar(100), pwd varchar(100) not null, email varchar(200) not null, phone varchar(50), regdate datetime default now(), lastlogin datetime default now(), primary key(id)); ( isCheck, modPwdDate, addr 등 필요한걸 더 추가가능 )만약 주소를 여러개 받고 싶다면 주소테이블을 별도로 분리   화면구성 회원가입 화면로그인화면 => 메인에서 받는 케이스, 로그인 성공시 로그인버튼은 로그아웃버튼으로 바뀜.글쓰기 페이지로 이동이 로그인해야 나오게설정, 글작성자, ..
JSP/JSTL 4일차. 이어서 댓글 수정 / 삭제 기능 구현  ● 수정과 삭제를 하려면 댓글번호와 댓글내용을 보낼 수 있어야하기에 전체화면에 addEventListener를 걸어주고 버튼을 누르면 내가 누른 버튼의 정보를 가져올 수 있게 만듬. 버튼과 내용에 클래스와 댓글번호 정보를 줄 예정댓글 내용에는 id로 댓글번호를 줘서 가져올 수 있게함. html += `수정`;html += `삭제`;html += ``; 이런식으로 댓글번호 정보와 class를 주고 document.addEventListener('click', (e) => { // 수정 if (e.target.classList.contains('cmtModBtn')) { // 수정에 대한 처리 let cnoVal = e.target.dataset.cno; // ..
JSP/JSTL 3일차. 만들던 board 기능의 수정 / 삭제를 이어서 구현. ● board 폴더에 detail.jsp에 수정페이지로 이동하는 버튼과 삭제버튼을 만들고 modify.jsp 수정파일을 생성 modify.jsp는 업데이트 커밋버튼과 list로 이동하는 버튼을 구현.● 만들어둔 컨트롤러의 detail 부분을 그대로 받아와서 수정페이지로 옮기고 수정페이지에서 업데이트를 거칠 예정이기에 case detail 부분에 modify를 추가case "detail": case "modify" : try { int bno = Integer.parseInt(request.getParameter("bno")); BoardVO bvo = bsv.getDetail(bno); log.info(">>>> detail bv..
JSP/JSTL 2일차. web.xml 설정display-name은 프로젝트명 반드시 일치해야함. welcom-file-list context-param- 인코딩 설정 반드시 들어가야함.- log4j2 설정 : log 찍을때 log4j2.xml 을 따라 찍어줘 src-main-java : controller, service ,dao  / => java src-main-web-app : jsp 화면 입장에서 / => webapp log4j2.xml 설정 //로그가 출력되는 위치를 설정  DB 설정-- 2024-10-22-- javaUser / mysql / javadb-- 게시판 ( board )●  bno ai pk ●  title varchar(500) not null●  writer varchar(100) not..